A : 요즘 제가 솔페지오solfeggio 명상에 빠져 있습니다! 도움이 될까 하여 동영상 공유합니다.
H : Thank you! 보고 의견 나눌께요.
A : 선생님의 의견은 언제나 설레입니다.
* 솔페지오solfeggio
고대의 신성한 음악, 그레고리안 성가 등에 사용된 여섯 가지 종류의 음계로서 육체와 마음, 영혼의 파동을 조화롭게 하는 특별한 파동을 사용한다.
* 동영상 자료의 성격
- 휴대폰 전자파의 폐해를 객관적으로 차분하게 짚은 다큐멘터리
- 꿀벌과 나비가 사라질 뿐만 아니라 인간의 건강에 현실적 위협
- 세포는 전자기적 파동으로 이루어졌고, 우리의 뇌는 끊임없이 파동을 발산하며, DNA는 그 파동을 전달한다. 예컨대 송과체에서 내보내는 멜라토닌 호르몬.
- 자연 환경으로부터 전달되는 건강한 파동이 우리의 정신적 안정, 육체 건강, 면역 체계, 생체 리듬 등 전반적인 웰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 과학자들은 이제야 이런 사실을 이해하기 시작했다.
- 인공적인 휴대폰 전자파는 인체와 자연의 파동을 교란하여 뇌종양, 암, 자폐 등 거의 모든 종류의 질병을 일으킨다.
- 휴대전화를 쓰지 않는 사람도 그 영향을 피할 수 없다.
- 살아있는 세포인 계란을 전자레인지microwave에 넣어 지속적으로 노출시킨다고 생각해보라. 계란은 굳어진다. 굳어진 계란은 병아리가 되지 못한다.
- 기업과 연구자들은 이 사실을 잘 알고 있다. 왜 말하지 않는가? 돈이 설명해준다Money talks.
H :
2018년에 제작되었으니, 5G 시대인 지금은 더욱 더 심각하네요.
저의 의견을 세 가지로 요약할께요.
1.
진실을 말하는 모든 과학자, 연구자, 폭로자whistle-blower 들께 감사하고 지지합니다.
사용 안할 수 없고 달라질 것도 없는데 알면 뭐하나?
그래도 진실은 말해져야 합니다.
나아갈 방향을 찾는 것은 우리 모두가 함께 생각할 일이지, 진실을 말하는 사람이 대안까지 책임져야 하는 것은 아니니까요.
방향을 찾고 결정하기 위해서 우리는 있는 그대로 알아야 합니다.
2.
문제의 원인을 한 가지로 환원하는 것은 오히려 우리의 시야를 협소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휴대폰 전자파가 암을 일으키는 것이 사실일지라도, 아마 사실일 것입니다, 암의 원인이 전적으로 휴대폰 전자파는 아닙니다.
예를 들어 저는 치유가로서의 경험을 통해 분노와 좌절, 회피 등의 강력한 부정적 감정이 암세포를 만들어내는 데 그리 오래 걸리지 않는다는 것을 압니다.
어떤 원인이 현실에 분명히 존재하지만, 현실이란 서로 다른 층위들이 겹겹이 얽혀서 펼쳐집니다.
각각의 층위를 식별해서 개별적으로 대처하는 편이 오히려 우리의 짐을 가볍게 하고, 책임있는 삶을 살도록 용기를 줄 수 있습니다.
3.
파동은 파동으로 대처할 수 있습니다.
세포가 미묘한 파동으로 이루어져 있고 거기에 휴대폰 전자파가 영향을 끼칠 수 있다면, 다른 긍정적인 요소들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뜻이 됩니다.
언급하신 솔페지오 명상도 좋고, 자연과 함께 하는 등 육체적, 감정적, 정신적, 영적 파동을 회복하고 조율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에너지 힐링 또한 그 중 한 가지로, 우리 안에 내재하는 본연의 힘을 활성화 시키면 됩니다.
예컨대 저는 파킨슨, 뇌졸증 치료를 받고 계신 분들께 에너지 힐링을 할 때 뇌세포가 펴지는 소리를 듣기도 합니다.
물론 클라이언트 본인도 마치 쫄아붙은 풍선이나 비닐봉지가 펴지듯이 찌지직 찍찍 하는 소리를 듣습니다.
그 효과는 몸 전체에 미치지요.
에너지 힐링은 어떠한 기계적 도구나 약물도 필요치 않으며 특별한 환경에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도 아닙니다.
우리가 가진 의식의 파장으로 에너지 시스템의 파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수많은 악영향이 있다면 수많은 선영향도 있습니다.
의료적 치료와 에너지적 치유가 결합되면 매우 강력한 선영향이 됩니다.
'치유 문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래서, 헤일로 당신은 어떠한가? (0) | 2020.06.21 |
---|---|
A 방식 vs. B 방식 (0) | 2020.06.21 |
**가 마지막이겠지요? (0) | 2020.06.14 |
의미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0) | 2020.06.11 |
왜 트라우마를 말하는가 (0) | 2020.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