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바디® 힐링 하면서 어센션을!

함께 천천히 걸어보아요

함께 천천히 걸어보아요

전체 글 1041

아킬레스 건 3 - 마스터 힐러란 무엇인가

누구나 힐러가 될 수 있고, 실제로 우리는 주위의 누군가에게 치유가의 역할을 하며 삽니다. 다만 아킬레스 건의 치유까지 이끌어 낼 수 있으려면 조금 다른 이야기가 될 것입니다. 마스터 힐러란 그러한 역량을 갖춘 사람이라고 말하겠습니다. 첫째, 치유 전반에 대한 어느 정도의 식견은 당연히 필요할 것입니다. 지식이나 학벌보다는, 본인의 치유에 적용해본 실제적인 지식과 지혜라야 치유 과정에서 힘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둘째, 자기 자신의 아킬레스 건을 돌파해본 사람을 뜻합니다. 높은 산을 올라보지 않은 사람이 그 산을 오르려는 다른 이를 안내할 수는 없겠지요. 셋째, 자신이 어떤 유형의 가족 출신인가를 냉정하게 판단할 필요가 있습니다. 자기가 갖고 있는 자산이 무엇이며, 어떤 유형을 효율적으로 치유할 수 있는..

치유 사례 2019.02.11

아킬레스 건 2 - 감정을 응시하기

아킬레스 건을 치유하려면 당사자와 힐러 양 쪽으로부터 고도의 집중력과 심리적인 테크닉이 필요합니다. 가장 중요한 일은 감정을 깊이 있게 응시하는 것입니다. 만만히 얕잡아 보았을 감정이야말로 무의식과 잠재의식으로 안내하는 네비게이션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세밀함과 깊이를 가지고 천착해 들어가면 익숙하면서도 낯선 내면의 풍경이 펼쳐집니다. 신기함과 쾌감, 숨이 막힐 정도의 압박감, 깊이 봉인된 감정을 열지 않으려는 발버둥과 모르는 척, 무기력, 즐거움과 해방감 등 한없는 마음의 여정이 이어질 것입니다. 어느 순간 문득 그 동안 이루어진 이해들이 통합되어 힘을 발휘하는데, 자신의 심리 패턴이 한꺼번에 보일 뿐만 아니라 그 패턴이 가족 관계 안에서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그것을 다른 관계에 어떻게 적용하며..

치유 사례 2019.02.11

아킬레스 건 1 - 삶을 회전시키는 심리적 연결고리

신화 속 인물 아킬레스는 현대 심리학과 치유적 영성에서 중요한 상징으로 부활합니다. 강인한 불패의 영웅이었던 아킬레스가 단 하나의 치명적인 약점에 화살을 맞고 무너지는 모습이 인간 에고의 심리적 구조와 행동 패턴을 설명하기에 더 없이 적절해보이기 때문입니다. 아킬레스 건의 사례 1 - 생존 불안 어떤 이는 돈을 쌓아두고도 탐욕을 멈추지 못하여 몰락하거나 주변에 파괴적인 영향을 끼치는데, 그 심층 심리는 생존 불안입니다. 생존 불안을 야기하는 결핍은 단지 경제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부모의 물리적 부재, 아동 학대의 당사자 혹은 목격자(형제자매), 감정적 공감과 지지의 결여, 가족의 죽음이나 질병, 극심한 트라우마 등 여러 요인이 있습니다. 성장기의 결핍을 성인기에 어떤 심리와 행동 패턴으로 대처하느냐에 따..

치유 사례 2019.02.11

관세음 - 신성한 무관심

백 년 전 일본에서 시작된 레이키라는 치유법이 대중화 된 계기는 오히려 미국에서 마련되었다. 무엇이 되었든 반 세기가 넘는 동안 꾸준히 발전하면서 한 사회에 뿌리내리는 과정은 아름답고 감동적인 데가 있다. 그 중에서도 내가 좋아하는 대목은 백인 크리스찬인 레이키 힐러들이 미지의 신성인 관세음보살의 가이드를 받아들여 카루나 레이키®라는 보다 진화된 형태의 치유법을 체계화 시켰다는 점이다. 이러한 개방성이 그들 스스로에게 국제적인 영향력을 가져다 주었다(국제 레이키 교육 센터 reiki.org 참조). 불교에 문외한이었던 나는 아마도 카루나 레이키® 마스터 과정을 마치고 난 이후부터 관세음보살이라는 존재에 대해 관심이 생겼던 것 같고, 이후 불교 공부로 이어졌다. 그리고 힐러로 일하면서 "관세음觀世音"이라는..

심리 상태가 몸의 회복에 미치는 영향

많이 아픈 사람들에게 가장 고통스러운 것 중의 하나가 건강이 마음 먹기에 달렸다는 말이다. 병원에서 원인과 치료법을 발견하지 못할 경우에 "신경성"이라는 말을 흔히 쓰고, 당사자는 죽을 만큼 고통스러운데도 마치 정신력이 해이해서 아픈 사람인 것 같은 뉘앙스를 은근히 풍기기 때문이다. 가족이나 주위 사람들은 꼭 그렇게 생각해서 말한다기 보다는 오랜 고통을 하염없이 호소하는 사람에게 달리 해줄 말이 없어서이기도 하다. 그런데 당사자는 이 말이 서럽고 서운하다. 심리적인 외로움, 고립감이 심화된다는 뜻이다. "신경성"이 아니라 에너지체에 대한 치유가 필요 핵심 원인은 에너지체일 경우가 많다. 육체와 다른 시스템으로서의 에너지체라는 또 하나의 몸이 우리 안에 엄연히 현존한다. 이 문제를 체계적으로 접근해주면 "..

치유 사례 2019.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