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이 붕괴될 정도로 사력을 다하는 사람의 깊은 내면에는 자신을 창피한 존재로 인식하는 수치심이 깔려 있다. 성장기 아동 학대child abuse의 흔적이다. 예민하고 인지 능력이 뛰어난 사람도 예외가 아니고 오히려 더 심한 경우도 많은데, 자신이 착하고 유능하고 열심히 하는 사람임을 권위있는 누군가에게 끊임없이 인정받으려 한다. 인정 욕구가 처음에는 성과를 내지만 나이 들어가면서 역할이 다양해지고 복합적으로 변화하는 시기에는 반드시 문제와 약점이 드러난다. 오늘날의 치유학에서 가장 중요한 진전 중의 하나는 학대의 개념을 단지 물리적, 언어적으로 심각한 폭력에만 국한시키지 않고, 어린 시절 가정 내에서 이루어지는 방치와 강박적 요구, 감정적 연결의 부재 등 다양한 형태의 부적절한 양육이 어떤 후유증을 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