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바디® 힐링 하면서 어센션을!

함께 천천히 걸어보아요

함께 천천히 걸어보아요

치유 문답 173

실험 - 정말로 마음이 몸에 영향을 미치나?

암,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법을 찾지 못하는 증상, 원인을 알 수 없는 허약성 등 "불가항력적"이라고 여겨지는 육체의 고통과 공포는 치유 작업에 늘 포함되는 이슈들이다. 내가 하는 말은 정해져 있다. 딱 두 가지다. 1. 저는 육체적인 질병 치료의 전문가가 아닙니다.반드시 해당 전문가와 상의하셔서 안전하게 관리하시기 바랍니다. 2.치유는 에너지와 의식을 가지고 몸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치는 작업입니다.인간 존재는 4개의 층위(4 바디)로 이루어져 있어요 - 육체, 감정, 정신, 높은 차원의 정체성/영성. 이러한 원리를 진실로 선택하고 통합하는 데 전력을 기울이시기 바랍니다.전전긍긍 하며 부정적인 정보만 찾아다니면 에너지와 의식이 그 결과를 끌어들이지 않겠습니까?자기 충족적 예언self-fulfilling ..

치유 문답 2020.03.28

유투브 Master Healers - 치유의 길 위에 선 당신께

치유의 길을 가시는 분들께 제가 느끼는 기본적인 감정을 담아봤어요. 저는 힐러가 되리라는 생각은 꿈에도 못했던 사람이예요. 혼자서 힐링을 할 때 너무나 외롭고 무서웠습니다. 제가 이상한 짓을 한다고 생각하며 걱정스러워하는 친구들이 미국에까지 찾아와서"무엇을 하고 싶은 거니?""너무 늦기 전에 영화계로 복귀했으면 좋겠다"는 말을 마지막으로 하고 슬픈 눈으로 돌아갈 때, 사람의 선의에 답할 수 없는 상황이 얼마나 억장 무너지는지. 나의 내면, 나의 건강, 나의 가족, 나의 삶, 그 터널을 향해 본격적으로 걸어들어갈 때혼자 엎드려 소리내어 울었어요.무서웠거든요. 그 끝에 빛이 있을까, 막장의 벽에 부딪힐까 하는 의문은 오히려 호사스럽지요. 해도 해도 안되는 용서, 내려놓음, 확신, 평화.예수께서 일곱 번씩 일..

치유 문답 2020.03.10

힐러 워크샵 8. 뒷담화의 두려움 vs 공포

치유 현장에서 직면하는 의외의 두려움이 두 가지 있다. - 사이비에 홀리는 것 아닌가? 가족이나 지인, 종교 단체에서 어떤 평판이 날까?- 내 이야기가 뒷말로 돌게 되지 않을까? "사이비" 즉 비제도권 영성의 건강성 여부는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여기서는 일단 연관성이 있는 기존의 글로 대신한다. http://blog.daum.net/halokim.healer/306 두 가지 두려움은 뒷공론에 대한 공포라는 공통점이 포함된다.뒷말이란 내 앞에서 말해지지 않은 피드백이다.다양한 피드백이 있을 것은 당연하고, 각자의 관점에 대해 좋고 나쁨을 말하기 어렵다.개개인이 자신의 관점과 선택을 향해 나아가는 이면의 공간이라고 생각한다. 초점을 기울일 지점은 그에 대한 공포심이다. 일단 두려움과 공포는 다르다...

치유 문답 2020.02.23

힐러 워크샵 7 - 선하다는 오만

치유 서비스를 찾는 사람들의 공통점 중 하나는 대체로 착하다는 것입니다.바르게 살기 위해 애쓰는 타입이고 타인의 어려움을 잘 외면하지 못하며 어려운 상황에서도 인간 존재의 근본적인 존엄을 유지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이런 분들이 힐링의 본질을 직관적으로 잘 이해하고 진지하게 대한다는 사실을 경험적 통계로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새로운 분들을 만날 때 저는 모든 껍데기 - 학력, 경력, 타이틀, 가족사, 지위, 재산, 지식 등과 무관하게 이런 자질이 보이는 분을 알아채고 집중적인 노력을 기울입니다. 그 자질이 힐링/영성의 본질과 맞닿으며, 실제로 힐러/영성가로 꾸준히 성장할 확률이 높습니다. 그렇다고 이러한 분들의 치유가 쉽거나 빠르다는 뜻은 아닙니다.약하고 고집스럽기 때문입니다. 가족이나 세상으로부터 많..

치유 문답 2020.02.11

사이비, 무당 그리고 힐러

"무당하고 뭐가 달라요?" 에너지 힐링을 절실히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치유를 꺼리는 이유가 이런 류의 두려움이다. 종교인이나 자칭 "현대적 지식인" 중에는 무언가 자기 확신을 가지고 부적절한 언사를 하는 사례도 꽤 있다. 나도 예전에는 비슷하게 생각했으므로 그러려니 한다. 다만 사이비 강박증이 한국 사회에 특이한 현상이라는 점은 짚고 넘어갈 만 하다. 사이비似而非라는 단어는 "비슷하지만 아니라는" 뜻이다. 무엇과 비슷해야 한다는 것인가? 제도권 종교 혹은 자신이 옳다고 믿는 지식 체계다. 기성 종교나 본인의 지식 체계가 완전무결하고 결핍없는 틀을 모두에게 제공하는가? 누구도 단언하지 못할 것이다. 그런데 제도권 바깥의 영성에 "사이비"라는 딱지를 붙이는 순간, 그 말을 하는 사람들이 이런 논리 오류에 사..

치유 문답 2020.01.22